중앙대학교[제2캠퍼스] 등급컷 입결 모집요강
1. 전년 대비 주요 변경 사항
주요 변경 사항 | 2022학년도 | 2021학년도 | |||
모집인원 | 구 분 | 인 원(명) | 비 율(%) | 인 원(명) | 비 율(%) |
수 시 | 3,231 | 64.8 | 3,383 | 68.8 | |
정 시 | 1,756 | 35.2 | 1,536 | 31.2 | |
계 | 4,987 | 100.0 | 4,919 | 100.0 | |
전형유형 변경 여부 | - | - | |||
학과(부) 변동 상황 | ㆍ신설 - 약학부 신입학 선발에 따른 모집단위 신설 (약학대학 약학부 신규 모집) |
ㆍ신설 - 학과 신설에 따른 모집단위 신설 (소프트웨어대학 AI학과,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과 신규 모집) |
|||
학생부종합전형 (모집인원 반드시 표기) |
ㆍ학생부종합전형(1,620명) - 다빈치형인재(590명) - 탐구형인재(595명) - SW인재(75명) - 사회통합(24명) - 고른기회(336명) |
ㆍ학생부종합전형(1,585명) - 다빈치형인재(605명) - 탐구형인재(552명) - SW인재(75명) - 사회통합(24명) - 고른기회(329명) |
|||
전형 변경 사항 | ㆍ학생부교과(지역균형) 신설 - 기존 학생부교과/학교장추천 통합 - 교과70%+비교과30% - 진로선택과목 10% 반영(성취도에 따른 환산점수) - 고교별 추천인원 10명 |
- | |||
전형방법 변경 사항 | ㆍ전년대비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(교과- 지역균형) ㆍ학생부종합(다빈치형인재) 2단계 면접 도입 ㆍ학생부종합 제출서류 축소 - 교사추천서 폐지 - 자기소개서 문항 축소 (4문항 5,000자 → 3문항 3,000자) - 고른기회-특성화고졸재직자 추가제출서류 10매 → 5매로 축소 |
- |
2. 수시모집의 특징
가. 2022학년도 수시모집의 특징
- 학교교육 중심 전형 위주로 운영: 학생부위주(학생부교과 및 학생부종합)의 비율이 약 66% 수준으로 배정되어 있으며, 서류평가 시 블라인드 평가 운영을 실시
- 약학대학 신입학 선발 실시
- 학생부교과 지역균형전형 신설: 기존 학생부교과와 학교장추천을 통합한 형태
- 학생부종합 - 다빈치형인재 2단계 면접 실시
- 학생부종합 - 교사추천서 폐지, 자기소개서 문항 변경(4개 문항 5,000자 → 3개 문항 3,100자)
- 학생부종합 – 고른기회(특성화고졸재직자) 추가제출서류 10매 → 5매로 축소
- 수시모집 제출서류 전체 온라인 업로드
나. 전형별 지원 전략
■ 2021학년도 중앙대학교 수시 지원 전략 수시에 지원하는 수험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적합한 전형을 찾는 것이다. -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지원자 중 교과성적이 우수한 학생이라면 학생부 교과(지역균형) 전형, 교과성적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학생들은 논술전형을 고려해 볼 수 있다. · 올해 학생부교과전형의 모집이 대부분의 대학에서 실시하기 때문에, 전년대비 합격선의 변동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. 1~2등급대의 교과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학생부교과(지역균형) 전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. · 중앙대는 논술고사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많이 제공하는 대학이다. 수험생들의 논술고사 대비를 위해 논술가이드북을 매년 발간하고 있고, 가이드북에 따라 준비한다면 남은 기간 동안 충분이 대비가 가능하다. - 고교 내에서 교과 및 비교과에 대해 꾸준한 활동을 성실히 해온 학생이라면, 학생부종합전형을 고려해볼만하다. 학업에 대한 뚜렷한 목표의식과 본인의 진로를 탐색해 보며 여러 교내활동에 노력을 기울인 학생이라면 중앙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를 살펴보도록 하자. · 중앙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이 평가요소 및 평가요소별 반영특성에 따라 다빈치형인재/고른기회/사회통합전형과 탐구형인재/SW전형인재로 나뉘어진다. · 모집요강과 학생부가이드북을 통해 평가요소 및 반영비율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며, 학업과 비교과 활동의 비중과 다양한 경험, 교내활동에 대한 노력의 깊이, 계열 적합성, 면접 유무 등에 따라 학생부종합전형 중 본인에게 적합한 전형을 탐색해야할 것이다. - 중앙대학교는 입학처 홈페이지, 가이드북, Youtube-중앙대학교 입학처 채널 등을 통해 전형 선택과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각 전형의 전년도 입시결과와 경쟁률 등의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고 있다. 매년 전형별 가이드북(학생부 가이드북, 논술 가이드북)을 발간하여 수험생 스스로 전형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. 가이드북에는 전형 준비의 시작에서부터 수험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, 전년도 합격생의 수기 등 지원자 대부분이 온라인/오프라인으로 상담해오는 항목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담겨 있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. 중앙대학교에 지원하는 수험생이라면, 모집요강 뿐만 아니라 본인이 지원할 전형에 대한 가이드북을 반드시 참고하길 바란다. |
1) 학생부교과(지역균형)
전형명 | 추천 인원(명) | 비 고 |
학생부교과(지역균형) | 고교별 10명 | 졸업예정자만 해당 |
- 학교생활기록부 100%(교과 70% + 비교과 30%)로 선발하며,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
- 교과 영역(70%): 공통과목/일반선택과목 90%(석차등급의 환산점수 적용),
진로선택과목 10%(성취도의 환산점수 적용)
- 비교과 영역(30%): 출결 및 봉사 반영(출결은 무단/미인정 결석 1일 이하이면 만점,
봉사는 ‘코로나19’상황을 고려하여 전원 만점 처리)
-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교과: 인문계열은 국어, 수학, 영어, 사회교과 전 과목,
자연계열은 국어, 수학, 영어, 과학교과 전 과목을 반영
- 수능최저학력기준
ㆍ공통사항: 한국사는 공통적으로 4등급 이내를 충족,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
자연계열 과학탐구 과목별 Ⅰ+Ⅱ 중복 선택 불가(ex. 화학Ⅰ+화학Ⅱ 불가)
ㆍ인문계열: 국어/수학/영어/사,과탐 중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, 탐구 상위 1과목 반영
ㆍ자연(약학부): 국어/수학(미적분, 기하 중 택 1)/영어/과탐 중 4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,
탐구 상위 1과목 반영
ㆍ자연(서울)계열: 국어/수학(미적분, 기하 중 택 1)/영어/과탐 중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, 탐구 상위 1과목 반영
ㆍ자연(안성)계열: 국어/수학(미적분, 기하 중 택 1)/영어/과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, 탐구 상위 1과목 반영
2) 학생부종합
가) 다빈치형인재
-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 선발
- 수능최저학력 없음
- 1단계: 서류 100%(3.5배수 선발) / 2단계: 서류 70% + 면접 30%
- 서류: 전체 지원자 대상으로 학교생활기록부, 자기소개서 등을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
- 서류평가의 평가 요소 및 반영비율: 학업역량 20%, 탐구역량 20%, 통합역량 20%,
발전가능성 20%, 인성 20%
- 면접: 1단계 합격자 대상으로 학업준비도, 인성 및 의사소통능력, 서류의 신뢰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인별 심층면접
- 면접평가의 평가 요소 및 반영비율: 학업준비도 40%, 서류신뢰도 40%, 인성 및 의사소통능력 20%
나) 탐구형인재/SW인재
- 고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해당 전공분야에서 탐구능력을 보인 경험이 있으며 학교생활에 충실한 학생
- 교내 학업 관련 수상실적, 수업, 창의적체험활동, 독서활동 등 탐구활동 과정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인 학생 선발
- 수능최저학력 없음
- 서류 100%
- 서류: 학교생활기록부, 자기소개서 등을 근거로 지원자의 탐구능력, 전공분야의 학업잠재력, 학교생활 충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)
- 서류평가의 평가 요소 및 반영비율: 학업역량 20%, 탐구역량 30%, 전공적합성 30%, 발전가능성 10%, 인성 10%
다) 사회통합/고른기회
-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 선발
- 수능최저학력 없음
- 서류 100%
- 서류: 학교생활기록부, 자기소개서 등을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
- 서류평가의 평가 요소 및 반영비율: 학업역량 20%, 탐구역량 20%, 통합역량 20%,
발전가능성 20%, 인성 20%
라) 고른기회-특성화고졸재직자
-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균형적으로 선발한 인재를 선발하며, 사회경력, 자기계발 노력을 포함하여 평가
- 수능최저학력 없음
- 서류 100%
- 서류: 학교생활기록부, 자기소개서 등을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능력, 사회경력, 자기계발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
- 서류평가의 평가 요소 및 반영비율: 학업수학능력 30%, 사회경력 30%, 자기주도성 20%, 공동체의식 10%, 성실성 10%
3) 논술
- 논술 60%, 학생부 40%(교과 20%+비교과20%)로 선발하며,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
- 논술(60%):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하며 인문계열은 통합형,
자연계열은 단일 교과형(수학, 과학)으로 출제
논술 가이드북을 통해 논술문제, 예시답안, 채점기준 등 모든 정보 공개
- 논술유형 : 인문사회계열: 언어논술 3문항 /
경영경제계열: 언어논술 2문항과 + 수리논술 1문항 /
자연계열: 수리논술 3문항 + 과학논술(생명과학, 물리, 화학 중 택 1) 1문항
- 학생부 교과(20%, 석차등급 상위 10개 과목 반영),
- 교과반영방법: 인문계열의 경우 국어, 수학, 영어, 사회 교과 중 상위 10개 과목 석차등급
자연계열의 경우 국어, 수학, 영어, 과학 교과 중 상위 10개 과목 석차등급 반영
- 학생부 비교과(20%, 출결 및 봉사 반영),
출결은 무단/미인정 결석 1일 이하이면 만점, 봉사는 ‘코로나19’상황을 고려하여 전원 만점 처리
- 수능최저학력기준
ㆍ공통사항: 한국사는 공통적으로 4등급 이내를 충족,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
자연계열 과학탐구 과목별 Ⅰ+Ⅱ 중복 선택 불가(ex. 화학Ⅰ+화학Ⅱ 불가)
ㆍ인문계열: 국어/수학/영어/사,과탐 중 3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, 탐구 2과목 평균 반영
ㆍ자연(약학부, 의학부): 국어/수학(미적분, 기하 중 택 1)/영어/과탐 중 4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,
탐구 2과목 평균 반영
ㆍ자연(서울)계열: 국어/수학(미적분, 기하 중 택 1)/영어/과탐 중 3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, 탐구 상위 1과목 반영
ㆍ자연(안성)계열: 국어/수학(미적분, 기하 중 택 1)/영어/과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, 탐구 상위 1과목 반영